보험업권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(코로나19)의 확진자가 700여명을 넘는 등 늘어남에 따라 영업망 관리에 나섰다. 보험업 특성상 대면 영업 비중이 크고, 불특정 다수와 접촉하는 산업인 만큼 주의할 필요가 있다는 이유다. 업계는 이번 사태가 장기화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, 인슈어테크 등 비대면 부분이 향후 확대될 것으로 보고 있다.
24일 업계에 따르면 각 보험사들은 코로나19 확진자가 확산함에 따라 각 영업채널에 비대면 영업을 강화하라는 지짐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.
한 손해보험사 관계자는 “코로나19 확진자가 매일 크게 늘어나고 있어 대면 영업 비중이 큰 기존 사업 구조 변경이 불가피해졌다”면서 “가급적 설계사 조직에 비대면 업무 위주로 영업을 하라고 당부하고 있다”고 말했다. 생명보험사 관계자는 “현장에서도 고객이 먼저 만나는걸 꺼려하는 사례가 빈번하다”면서 “가입부터 청구까지 웹이나 모바일 등 비대면으로 가능하고, 비대면이 불가능한 고객의 보험금 청구 등 서비스는 접촉을 최소화하도록 팩스 등을 권고하고 있다”고 전했다.
보험사들은 보험과 IT를 결합한 인슈어테크 서비스를 대거 적용 중이다. 삼성화재를 비롯해 현대해상, DB손해보험, KB손해보험 등 손해보험사, 삼성생명 등 생명보험사들도 모바일로 전자서명이 가능한 서비스를 현재 제공 중이다. 모바일 전자서명은 설계사가 고객에게 보험계약 때 문자메시지나 카카오톡으로 URL을 보내면 휴대폰에서 최종 서명을 하는 것이다. 보험계약을 맺을 때 설계사가 태블릿PC나 서류를 들고 고객을 만나던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.
청구도 설계사를 만나지 않고도 가능하다. 한화생명은 '클레임 AI자동심사 시스템'을 도입해 운영 중이다. 인공지능(AI)이 스스로 보험금 지급여부를 결정하는 방식이다. 현재 이 시스템은 한화생명의 전체 보험금 청구 건의 약 50%까지 처리하는 것이 목표다. KB손해보험은 병원 내 무인기계(키오스크)를 활용해 실손보험금 간편청구 시스템을 운영 중이다. DB손해보험도 지앤넷과 함께 키오스크에서 보험금을 청구하는 시스템을 마련했다. 보험사 외에도 법인보험대리점(GA), 인슈어테크, 삼성SDS 등도 최근 앱이나 키오스크 등 비대면으로 보험금을 청구하는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.
미래의 영업 형태는 어떤 모습일까?
하랑마케팅의 스마트폰콜백서비스는 비대면 마케팅 ( 언택트 마케팅 )에 반드시 필요한 아이템으로 자리잡을 것이라고 예상된다.
